달력

5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서론:

이 글은 인과추리에 대한 이야기다. 특히, 통계적 인과추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 의도한 바는 단순 인과추리였는데 쓰다보니 통계적 인과추리라는 것을 깨달았다.(첨언)


본론:

우리나라 스님들이 훌륭하다고 이야기 하기 위해서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 있다.

즉, 집단의 성질을 규정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스님들 중 많은 확률이 다른 집단들과 다르게 성공률이 높아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성공률은 어느 대상이든지간에 참인 경우를 말한다. 인과추리의 경우에서 O에 해당하는 것이다.

현실에서 연역적으로 참인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연역적으로 참인 것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귀납적인 개연성에 대해서 고려를 해야한다. 이러한 것을 고려할 때 결국 우리는 비율로 따져야 한다. 우리 정한 집단 A와 결과 사이에 O의 매칭율이 높을수록 A집단과 결과 사이에는 높은 개연성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높은 개연성이라는 것은 절대적인 기준, 가령 80퍼센트 이상이거나 상대적인 기준, 다른 어떤 집단보다 높은 확률을 갖는 경우에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적용/평가:

이러한 원리를 받아들일 때 국내의 타종교, 심지어 타단체와 달리(논점/논의를 국내와 종교 혹은 단체에 제한) 우리나라 스님들이 만약 매우 높은 비율로 호국을 했다면 그 인과성에 대해서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비율은 낮다면 아마도 모집단이 커서 우연히 걸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정리하면), 우리나라 스님들이 훌륭했냐 아니면 우리나라에 스님들이 많아서 그 중 우연히 스님이 많이 나왔냐에 대한 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의의(외재적,내재적 관점):

이러한 분석은 통계학이란 틀에서 가장 많이 대조되는 상대성(비율)과 절대성(실제값)의 차이에 따른 분석이라고 볼 수 있다. 올바른 분석은 전자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Posted by Analytical Warrior
|